초빙정보 공채 대진 아카데미 닥터스라운지 연수평점 관리
MY페이지 고객센터
로그인 회원가입
블루팜코리아가 새롭게 준비한 의사 Ai 초빙 플랫폼, 블루닥(Bluedoc)

상세정보

전문가들이 제공하는 병의원 개원 & 운영 꿀 TIP

칼럼-048 : 병원 마케팅과 지역성

  • 작성일 2025-02-06 16:14:23
  • 조회 31
  • 좋아요 0
  • 투비스토리



칼럼-048 : 병원 마케팅과 지역성

 

 

15e8368ff58ec5ea1cd319d2a6d4acf3_1738826018_6567.png

 

 

서울을 제외한 특정 지역에서 오랜 기간 자리 잡아 브랜딩이 되었다고들 하는 로컬병원들의 이야기입니다

이제 어느 정도 해당 지역에서는 자리를 잡았다고, 네임드병원이 되었다고 해서 지역을 확장해서 광고하면 

그 성과가 터무니없을 정도로 많이 떨어집니다. 예를 들어, 일산에서 유명한 병원을 파주 정도까지 광고하면 

어느 정도 광고 성과가 나오지만, 같은 이동 거리의 서울 강서구, 은평구만 해도 인접지역이지만

광고 비용 투입 대비 성과는 엄청난 하향 곡선을 그리게 됩니다. 정형외과, 한의원, 안과, 치과 등 종류를 

가리지 않고 이런 현상이 나타납니다.

 

 

15e8368ff58ec5ea1cd319d2a6d4acf3_1738826028_4274.png

 

 

 지역에서 이름난 병원이라면 어느 정도 확산해서 진행해도 될 법한데,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지역 병원의 명성과 브랜드는 분명히 지역에서 의미가 있습니다. 그리고 해당 지역의 생활권에 영향을 미치는 

일반적 범주에서 가망 신환들도 이동을 하게 됩니다. 전국을 타깃으로 하는 강남의 대형 비급여 병원, 대학병원

상급 병원과 지역 전문병원, 지역 병원의 마케팅은 분명히 다릅니다. 지역 병원은 지역적 제약이 있고

지역성을 띠게 됩니다. 지역을 벗어나서는 마케팅 효율이 급속하게 떨어집니다

강남의 전국을 대상으로 하는 병원도 마찬가지입니다

다른 지역에서도 환자가 있다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같은 예산을 투입하였을 때 우리 지역에 투자할 때와 

우리 지역을 벗어난 지역에 광고 비용을 투자할 때의 차이를 비교해야 합니다.

 

 

15e8368ff58ec5ea1cd319d2a6d4acf3_1738826038_0171.png

 

 

 필자가 강남의 병원들을 처음 방문하여 수도권 환자 비율과 지역 환자 비율을 질문해 보면 제대로 된 답변을 듣지 못하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 본인들도 통계를 내어 본 적이 없다는 말입니다. 같은 비용을 투입하였을 때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ROI가 어떻게 되는지 잘 모르고, 마케팅 예산의 지역 편성을 감에 의존하여 지출하고 

있는 경우를 많이 봅니다. 병원의 온라인 마케팅 도구도 유행이 있습니다.

 

 

15e8368ff58ec5ea1cd319d2a6d4acf3_1738826046_9286.png

 

 

 로컬병원은 강남병원, 대형 병원이 하는 마케팅을 모방할 것이 아니라, 지역에서 확실히 이기는 마케팅

우리 지역을 확실히 지키는 마케팅을 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유튜브와 같은 채널을 지역 병원에서 해야 

할지는 한번 잘 생각해 보시기 바랍니다. 시간과 비용을 투입해서 진행하는 만큼 유튜브 채널이 효과가 있을지

차라리 그 예산으로 동 단위까지 지역 타깃이 확실히 되는 당근마켓처럼 우리 지역을 확실히 지키는 

지역 마케팅을 하는 것이 더 좋지 않을지에 대해서 말입니다. 마케팅은 자기만족이 되어서는 안 됩니다

그러나 이런 실수를 상당히 자주 보게 됩니다. 멋있는 마케팅이 아니라, 우리 지역을 확실하게 지키는 마케팅을 해야 합니다

그래야만 투자 대비 성과가 나오고, 그 결과로 마케팅을 오래 지속할 수 있습니다.

 

 

 

. 010-8718-5000

 help@2bstory.com

>> 049에서 계속

 


댓글

초빙

공채

대진

연수평점

M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