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신청은 고객센터로 문의해주세요:)
070-7549-2475
병원인테리어에서 가장 중요한 첫 단추는 무엇일까요?
바로 ‘어떤 인테리어 업체를 선택하느냐’입니다. 디자인은 나중 문제고, 먼저 이 업체가 병원인테리어를 제대로 해본 경험이 있는가, 의료공간에 대한 이해가 있는가, 그리고 책임지고 완수할 수 있는 구조인가를 반드시 따져봐야 합니다.
현장에서 저희가 직접 겪은 사례만 보더라도, ‘업체 선정’의 중요성은 몇 번을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실무에서 겪은 생생한 실패 사례
사례 1. 송도 OOO정형외과 – 6개월 개원 지연
인테리어 계약 후 시공이 시작됐지만, 추가공사비 정산 문제로 업체와 갈등이 발생했습니다.
중도에 공사가 중단되었고, 결국 민사소송으로까지 번졌습니다.
유치권까지 행사되어 개원일이 무려 6개월 지연되었고, 원장은 개원 전부터 수천만 원의 손실을 감수해야 했습니다.
사례 2. 부천 OOO비뇨기과 – 소방 문제로 중단
철거 중 스프링클러를 손상시켜 건물 전체에 누수가 발생했습니다.
소방 관련 설비를 외주 겸업 인력이 시공한 것이 원인이었고, 건물주와의 분쟁까지 이어졌습니다.
공사는 3개월 이상 지연됐고, 추가비용도 적지 않았습니다.
사례 3. 서울 OO치과 – 방염 미처리로 소방검사 반려
인테리어 업체가 목재 마감재를 사용하면서 방염 처리를 누락했습니다.
소방 필증을 받지 못해 개원이 지연됐고, 결국 방염공사로 3천만 원의 추가비용이 발생했습니다.
인테리어 업체 선정 시 꼭 확인해야 할 5가지 기준
1. 의료공간 인테리어 경력 5년 이상
단순한 상가나 카페 시공 경험과는 다릅니다. 병원만의 설계 기준, 감염관리, 장비 흐름 등을 이해하는지가 핵심입니다.
2. 설계와 시공을 한 회사에서 직접 하는지
설계만 하고 시공을 외주에 맡기는 경우, 책임 소재가 불분명하고 공사 중간에 문제 생길 가능성이 높습니다.
3. 실내건축공사업 면허 보유 여부
국가에서 인증한 시공 능력이 있는지 확인하세요. 면허 없는 업체는 법적 책임도 회피하기 쉽습니다.
4. 법인사업자인지, 개인사업자인지
법인은 경영상 책임과 보증이 명확하고, 하자보수 대응 능력도 상대적으로 우수합니다. 개인사업자는 인건비는 저렴하지만, 리스크도 큽니다.
5. 설계팀·시공팀이 내부에 있는 구조인지
외주 인력 위주의 회사는 시공 품질 관리가 어렵고, 시공 중 문제가 생겨도 대처가 느립니다.
인테리어 공사는 ‘한 번에 끝내야 합니다. 저가 견적이나 지인 소개만으로 업체를 선택했다가, 수개월 개원 지연과 억 단위의 손실을 보는 경우를 수없이 봐왔습니다.
병원인테리어는 '디자인'보다 '시스템과 책임’이 더 중요합니다.
검증된 시스템과 실적을 갖춘 인테리어 전문가와 함께 하시길 바랍니다.
글 : 디자인그룹프레임 김석원대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