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빙정보 공채 대진 아카데미 닥터스라운지 연수평점 관리
MY페이지 고객센터
로그인 회원가입
블루팜코리아가 새롭게 준비한 의사 Ai 초빙 플랫폼, 블루닥(Bluedoc)

광고 상품 안내

광고 신청은 고객센터로 문의해주세요:)

070-7549-2475

블루닥 이용가이드

상세정보

전문가들이 제공하는 병의원 개원 & 운영 꿀 TIP

5월 1일 근로자의 날 인사노무 이슈 알아보기

  • 작성일 2025-04-18 17:03:20
  • 조회 22
  • 좋아요 0
  • 노무법인해닮 이동직노무사


 

근로자의 날(51)근로자의날제정에관한법률에 의해 매년 51일로 지정되어 있는 유급휴일입니다.

 

병의원의 특성 상 이날 근로를 하는 경우가 많으실텐데, 근로자의 날과 관련한 노무관리 궁금증을 간단히 정리하여 보겠습니다.

 

 

Q1. 근로자가 근로자의 날에 근로 제공을 하지 않는 경우에도 임금을 지급해야 하는지

근로자의날제정에관한법률“51일을 근로자의 날로 하고 이 날을 근로기준법에 의한 유급휴일로 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유급휴일이라 함은 근로자가 근로를 제공하였더라면 지급받을 수 있었던 금액을 지급받으면서 근로 제공의 의무는 없는 것으로 정하여진 날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근로자가 근로자의 날에 근로 제공을 하지 않는 경우에도 임금을 지급해야 합니다.

 

 

Q2. 근로자의 날이 휴일과 겹치는 경우에도 임금을 지급해야 하는지

(행정해석 : 근로기준과-2116)근로자의 날이 주휴일 등 유급휴일과 겹칠 경우에는 1일의 유급휴일만 인정됩니다. 따라서 해당 일에 대하여 1일 분의 임금만 지급하면 되고, 별도로 추가 휴일을 부여할 의무도 없습니다.

 

고용노동부는 매월 고정적인 임금을 지급받는 월급제 근로자에게는 당해 월의 소정근로일수나 유급휴일수 또는 근로자의 날이 월요일에서 일요일 사이의 어느 날에 속하는지에 관계없이 소정의 월급금액을 지급하면 되는 것으로 해석하고 있으므로, 근로자의 날이 유급 또는 무급휴일과 겹치는 경우에는 월급제 근로자에게 월급금액을 지급하면 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Q3. 근로자의 날 근로하는 경우 임금을 어떻게 지급해야 하는지

근로자의 날은 유급휴일이므로, 근로자의 날 근로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근로제공이 없더라도 지급받을 수 있었던 임금(100%)과 휴일근로에 대한 가산임금을 지급해야 합니다. 월급제 근로자의 경우 근로자의 날에 대한 임금(100%)은 월급에 이미 포함되어 있으므로, 결론적으로 휴일근로에 대한 보상을 추가적으로 지급하면 됩니다.

 

, 휴일근로에 대한 대가 100%와 휴일 8시간 이내의 근로에 대한 50% 가산수당 및 휴일 8시간을 초과하는 근로에 대한 100% 가산수당을 추가로 지급하면 됩니다. 야간근로가 발생하는 경우 50%의 야간근로수당을 추가로 지급해야 합니다.

 

 

Q4. 일용직 근로자.단시간 근로자의 경우에도 근로자의 날을 유급휴일로 부여해야 하는지

대법원은 근로기준법상의 휴일제도는 연속된 근로에서의 근로자의 피로회복과 건강회복 및 여가의 활용을 통한 인건으로서의 사회적·문화적 생활의 향유를 위해 마련된 것으로 이러한 유급휴일 제도를 규정한 규범적 목적에 비추어 보면 근로의 제공 없이도 근로자에게 임금을 지급하도록 한 유급휴일의 특별규정이 적용되기 위해서는 평상적인 근로관계즉 근로자가 근로를 제공해 왔고 또한 계속적 근로제공이 예정되어 있는 상태가 전제되어 있다.(대법원200773277판결 등)”라고 판시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근로자의 날은 평상적인 근로관계를 전제로 근로계약 기간 내에 있어야 유급휴일로 될 수 있는 바, 1일 단위로 근로계약이 체결되는 일용근로자의 경우 원칙적으로 유급휴일 부여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할 것입니다.

 

다만 근로계약을 반복 갱신해 근로자의 날을 전후해 계속 근로한 것으로 인정될 수 있는 경우라면 그 기간 내 포함된 근로자의 날에 대해서는 유급휴일을 부여해야 할 것입니다.

 

 

Q5. 근로자의 날도 휴일 대체가 가능한지

(행정해석 : 임금근로시간정책팀-3356) 근로자의 날은 법률로서 특정한 날을 유급휴일로 정하고 있으므로 다른 날로 대체할 수 없으며, 다른 날로 대체하였더라도 근로자의 날에 근로한 경우에는 휴일근로수당을 지급해야 합니다.

 

다만, 근로기준법57조에서 같은 법 제56조의 휴일근로에 대하여 보상휴가제를 실시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고, 근로자의 날을 특별히 제외하고 있지 않으므로 근로자의 날의 근로에 대하여 임금을 지급하는 것을 갈음하여 보상휴가를 부여할 수는 있습니다.

 

예컨대, 근로자가 근로자의 날에 8시간 근무한 경우, 8시간의 150%에 해당하는 12시간 분의 임금을 추가적으로 지급하거나, 이에 갈음하여 12시간 분의 보상휴가를 부여할 수 있습니다.

 

 

 

글 노무법인 해닮 이동직 노무사 (010-3242-0453)

댓글

초빙

공채

대진

연수평점

M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