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040 : 병원 마케팅에서 전환이란
우선 마케팅에서 ‘전환’ 이라는 용어의 정의에 대해서 알고 계시나요?
‘전환’은 여러 의미가 있을 수 있지만, 전환율, 구매전환, 직접전환, 간접전환이라는 단어 정의는
여기저기서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그러면 온라인 마케팅에서 ‘전환’은 정확하게 어떤 의미일까요?
전환(Conversion)이란, 광고주가 원하는 행동을 고객이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광고주에 따라,
업계에 따라, 전환은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습니다.
전자상거래는 결제가 최종전환이 될 것이며, 커뮤니티 서비스는 회원가입이,
앱서비스는 앱다운로드가 최종전환이 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병원은 어떨까요?
역시 최종전환은 결제이지만, 신용카드 결제가 되지 않는 병원 마케팅의 경우에는
온라인에서는 상담 신청, 전화 버튼 누르기 등에서 전환을 잡을 수밖에 없을 것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전환은 정의하기 나름이고, 통계수집에 적극성이 있다면,
클릭이나 랜딩페이지 보기 등 더 앞단에서 적극적으로 전환을 측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더 디테일한 마케팅 운영계획을 잡을 수 있습니다.
쉽게 말해서 우리 병원에 내원하여 매출을 발생할 수 있는 기여에 가장 근접한 행동을
했다면 우리의 마케팅 활동이 유효했다고 판단할 수 있을 것입니다.
온라인의 경우는 먼저, 홈페이지 온라인 예약을 가장 강한 의도로 들 수 있을 것입니다.
그다음의 강한 의도는 상담 신청도 있습니다. 최근의 경우는 카카오 상담 버튼 누르기,
모바일 홈페이지에서 전화 버튼 누르기도 상당히 강한 전환입니다. 그 외에 약도 보기,
진료시간 확인하기 등 병원을 내원하기 위한 행동으로 볼 수 있는 간접전환도 있습니다.
홈페이지를 통한 마케팅 성과분석을 하고 있다고 주장하는 대다수 병원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간접전환의 의미를 잘 알지 못해 의미를 부여하지 않고,
해당 지표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어도 해석하려고 노력하지 않는 것입니다.
측정을 제대로 하지 않기 때문에 마케팅 예산이 누수됩니다. 이러한 간접전환
포인트에 대한 개념이 없으므로 가망 신환의 행동양식을 꼼꼼하게 분석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필자의 회사에서 최근 A안과병원에서 전환처리를 한 측정 포인트를 예로 들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진료예약, 전문의 상담, 라식 상담, 라섹 상담, 렌즈 상담, 드림렌즈 상담, 노안 상담, 오시는 길,
모바일 전화, 진료시간, 고객센터, 카카오톡 상담, 온라인예약, 회원가입, 노안센터 방문자,
라식센터 방문자 등의 버튼 클릭하는 행동이나 방문 모수를 전환 포인트로 잡아서 전환
성과를 측정하였고, 여기서 한 발짝 더 나아가서 안과병원은 라식과 노안이 매출의 가장
큰 포인트이기 때문에, 노안센터 메뉴를 클릭한 사람들과 라식센터 메뉴를 클릭한
사람들을 분석하고, 그들 중 다시 온라인 예약을 한 사람들의 비중을 분석하는 것을 기본으로 설정하였습니다.
. 010-8718-5000
>> 041에서 계속
댓글